본문 바로가기
한국 주식의 모든것

천보 주가 전망 LFP 배터리 최대 수혜 기업

by 테사냥 2023. 3. 28.

테슬라에서 차세대 차량 제조에 적용되는 리튬, 인산, 철을 사용한 양극재로 LFP로 원가를 낮추는 것에 주목을 하고 있으며 여기에 최대 LFP 배터리 수혜 기업으로 천보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2023년 본격 성장의 해를 맞이할 것으로 보이는 기업인 천보의 주가 흐름 및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LFP 배터리 최대 수혜주 천보 모멘텀 및 기업 전망

모멘텀
  •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선택한 LFP
  • 2023 인터배터리 박람회의 주인공 'LFP 배터리'
  • 실리콘 음극 사용으로 LFP 셀 에너지 밀도 증가로 주행거리 또한 증가

 

천보 기업 전망
  • 2023년 외형성장 본격화

올해 매출액 5,444억 원(yoy +65%), 영업이익 994억 원(yoy 68%)으로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되며 2분기 P전해질 천 톤, 4분기 F전해질 4천 톤의 양산이 시작될 예정이며, 첨가제 VC/FEC 6천 톤도 3분기 양산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2022년 4,700톤에서 2023년 17,000톤으로 생산능력이 확대되면서 외형성장이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 가격 경쟁력

중국 기업보다 높은 가격 경쟁력을 활용하여 중국, 유럽 중심으로 F 전해질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이러한 전략이 이익률에 하락으로 작용할 수는 있지만 다른 배터리 소재 대비 여전히 높은 이익률인 17% 수준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빠른 시장 점유율

고가의 LiPF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원재료 변경을 통한 제조 원가 30% 절감 제조법을 적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유럽, 미국 시장을 공략하여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테슬라가 주목하는 LFP 배터리 대표 수혜기업 '천보'

테슬라는 드라이브 유닛 및 SiC 사용 감소 관련 LFP, 삼원계 등 모든 배터리 화합물과의 호환을 중시합니다. 특히, 저가 배터리로 LFP 양극재를 주목하고 있어 차세대 차량 제조에 적용되는 양극재는 LFP, 삼원계 모두를 활용하되 배터리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양극재에 주목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LFP 배터리 확대 대표 수혜주는 '천보'이며 LFP 배터리의 이온전도도 향상을 위해 삼원계보다 높은 농도로 적용되는 특수 리튬염, 첨가제 생산 기업입니다. 특수 전해질 중 F 전해질은 중국 기업들보다 가격 경쟁력이 높으며, P 전해질은 독점인 기업으로 LFP 확대로 인한 수혜 폭이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천보 주식차트 분석

천보 주가 흐름 차트 사진
천보 주가 흐름 차트

 
박스권에서 주가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어 좋은 흐름이라고 볼 수 있으며 21년도에 엘앤에프만큼 과감한 투자로 그만큼 자신감이 있다 것으로 재무제표상 현금을 전부 투자로 돌렸으며 22년도에는 투자 소식이 없어 주가가 주춤했으나 23년도에는 21년에 투자했던 공장들이 가동되면서 매출 Capa가 커지는 시기로 지금부터 집중해서 주가 흐름을 관찰하셔야 할 때입니다.
 
박스권 중단에 위치해 있으며 저점에서 공략하기에는 애매하지만 박스권 대응으로는 충분히 아직 매수할 기회는 있어 보이며 주가가 하락한다면 박스권 하단까지 분할 매수로 대응할 수 있겠으며 270,000원 을 1차 목표가로 잡을 수 있겠습니다. 손절가는 마지막 저항대인 170000원으로 보입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댓글